▶◀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의혹
[노무현 전대통령 서거 경찰조사 결과에 대한 의문 No.1] 경찰 "盧전대통령, 투신후 28분간 방치돼"
[건희아빠]
2009. 5. 27. 18:20
이번에는 신문기사에 나온 경찰의 조사 결과에 대한 의문점을 열거하고자 합니다.
기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남지방경찰청이 27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투신후 발견되기까지 최소한 28분간 방치돼 있었다고 발표했다.
이운우 경남지방경찰청장은 이날 오후 경남청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수사결과 브리핑에서 "노 전 대통령과 동행한 이모 경호관이 오전 6시14분 정토원에 심부름 갔다가 6시17분 돌아온 후 노 전 대통령을 발견한 오전 6시45분까지 총 31분간 경호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노 전 대통령이 23일 6시17분에 투신했다고 가정하더라도 최소 28분간 부엉이 바위 아래에 방치돼 있었던 셈.
경찰의 이같은 발표후 네티즌들은 노 전 대통령 투신후 곧바로 응급조치를 했다면 소생 가능성도 있었던 게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어, 이 경호관의 거짓 진술 파문은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
경남지방경찰청은 그러나 이 경호관의 거짓진술에 대해 "투신 직후 요인을 충분히 지키지 못한 충격과 자책감, 흥분, 불안 등으로 심리적 압박을 느껴 허위 진술을 하게 됐다"며 감싸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경찰은 "경호관은 특수직종으로 충성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피경호자에 대해 목숨 바쳐 경호하도록 교육받아 온 점을 참작해 이 경호관의 최초 진술에 신빙성을 가졌으나 동료 경호관의 설득과 사회적 비난으로 마음을 정리하고 사실대로 진술하게 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운우 경남지방경찰청장은 이날 오후 경남청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수사결과 브리핑에서 "노 전 대통령과 동행한 이모 경호관이 오전 6시14분 정토원에 심부름 갔다가 6시17분 돌아온 후 노 전 대통령을 발견한 오전 6시45분까지 총 31분간 경호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노 전 대통령이 23일 6시17분에 투신했다고 가정하더라도 최소 28분간 부엉이 바위 아래에 방치돼 있었던 셈.
경찰의 이같은 발표후 네티즌들은 노 전 대통령 투신후 곧바로 응급조치를 했다면 소생 가능성도 있었던 게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어, 이 경호관의 거짓 진술 파문은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
경남지방경찰청은 그러나 이 경호관의 거짓진술에 대해 "투신 직후 요인을 충분히 지키지 못한 충격과 자책감, 흥분, 불안 등으로 심리적 압박을 느껴 허위 진술을 하게 됐다"며 감싸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경찰은 "경호관은 특수직종으로 충성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피경호자에 대해 목숨 바쳐 경호하도록 교육받아 온 점을 참작해 이 경호관의 최초 진술에 신빙성을 가졌으나 동료 경호관의 설득과 사회적 비난으로 마음을 정리하고 사실대로 진술하게 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여기까지 기사입니다.
제가 궁금한 내용은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투신하시고 최소 28분 가량 방치되어 있었다는 건데요.. 30m 높이라고 했던가요.. 맨 몸으로 30m 높이에서 떨어지면.. 일반적으로 사람은 머리부터 떨어집니다. 신체에서 가장 무거운 곳이거든요. 30m라면 최소한 아파트 10층 이상되는 높이일 겁니다.
생각하기도 끔찍합니다만, 노무현 전 대통령님의 두부는 상당 부분 훼손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추락지점에는 끔찍한 혈흔이 낭자하겠죠..
의문점은 아직까지 뚜렷한 혈흔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오늘 어느 언론을 보니, 피 한방울 떨어진 듯한 사진으로 혈흔을 찾았다고 하더군요. 경찰이 혈흔이 맞다고 확인을 한 건지, 아니면 경찰도 찾지 못한 것을 그 언론사가 찾은 건지.. 이런 무책임한 보도는 의문점만 더욱 증폭시키는 걸 모르는 걸까요..
경찰은 이 의문을 확실히 풀어야 할 것입니다.
경찰의 조사결과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