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xmanager 연결이 안되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해 주면 됩니다.
=> 클라이언트가 어떤 호스트에서도 연결 할 수 있도록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 xhost +
xmanager 연결이 안되어 웹에서 이런 저런 방법을 찾아보다가 발견한 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은 넷사랑 컴퓨터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입니다.
원문은
http://www.netsarang.co.kr/products/xmg_faq.html#n-2
입니다.
Sun Solaris 8에서 XDMCP 접속을 위한 설정법입니다. | |||||
|
http://www.netsarang.co.kr/products/xmg_faq.html#p7
![]()
|
다음으로 검색엔진을 이용해서 블로그에서 찾은 내용입니다.
원문은
http://blog.naver.com/vikong?Redirect=Log&logNo=60055541840
입니다.
3. XDMCP를 이용 SUN Solaris에 연결하려고 했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 "원격호스트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
XDM 연결을 하려면 리모트 호스트의 xdm이 동작하고 있어야 합니다. SUN Solaris의 CDE 환경을 사용하려면 xdm대신에 dtlogin을 사용합니다. 이것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은 dtconfig입니다.
CDE환경을 enable하려면:
$ /usr/dt/bin/dtconfig -e [enter]
CDE환경을 disable하려면:
$ /usr/dt/bin/dtconfig -d [enter]
4. 리모콘 연결시 Hostname이랑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접속을 하니 접속이 안되고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
Error: Can"t open display: 123.45.1.67:0.0
Error: Couldn"t find per display information
Xmanager는 서버 제품이므로 X 응용 프로그램이 접속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때 X 응용 프로그램측 유닉스(리눅스) 시스템과 Xmanager가 있는 PC가 다른 네트워크 상에 있어 방화벽이 설치되어 있고 공인 IP와 비공인 IP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공인 IP를 가진 PC에 wingate나 masquerading 기능을 넣어서 내부 IP를 가진 PC로 IP forwarding해 주는 방법으로 Xmanag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IP masquerading을 설정하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둘다 공인 IP인 경우는 방화벽의 포트를 설정하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5. Xmanager 사용시 방화벽의 포트는 어떻게 설정해 주면 되나요?
다음과 같이 포트를 열어주면 됩니다.
1. Inbound(incoming) TCP 6000 (Xmanager) : PC 에서 열어주어야 한다.
2. Outbound(outgoing) UDP 177 (XDMCP 연결 사용시) : PC 에서 열어주어야 한다.
3. Outbound(outgoing) TCP 512, 513, 514, 23 (리모콘 사용시)
6. IP masquerading 을 하는 방화벽 내부에 있습니다. 외부의 Linux/Unix 호스트로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masq server의 6010 포트를 PC의 6000 포트로 포워딩합니다.
# ipmasqadm portfw -a -P tcp -L firewall_address 6010 -R PC_address 6000
2. 리모콘 실행합니다.
3. 명령란에 다음처럼 입력.
/usr/bin/X11/xterm -ls -display firewall_address:10.0
4. 실행 버튼 클릭
firewall_address는 masq server의 IP 주소, PC_address는 PC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ipmasqadm 툴이 없으면 다음 사이트에서 받으세요.
http://juanjox.kernelnotes.org/
7. PC의 IP가 동적으로 할당되는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X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리모콘을 실행한 뒤 실행명령에 다음과 같이 씁니다.
"/usr/bin/X11/hanterm -ls -display $DISPLAY"
8.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Xmanager를 사용할 수 있나요?
Xmanager 버전 1.3.9 이상에서는 리모콘에서 SSH 접속을 지원합니다.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려면 먼저 SSH 서버가 X11 포워딩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OpenSSH 서버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X11Forwarding yes
Secure Shell Communications Security 서버 설정 파일 (/etc/ssh2/sshd2_config)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AllowX11Forwarding yes
위와 같이 설정하고 나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X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됩니다.
1. Xmanager 폴더(그룹)에 있는 리모콘을 실행
2. 이름 입력란에 "xterm-ssh"를 입력
3. [프로토콜]을 SSH로 선택
4. [호스트] 입력란에 원격 UNIX 호스트의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입력
5. [사용자] 입력란에 로그인 계정 이름을 입력
6. [비밀번호] 입력란에 로그인 계정의 암호를 입력한다.
7. [비밀번호 저장]을 선택, 보안이 중요할 때는 선택하지 않음
8. [실행명령] 입력란에 다음과 같이 xterm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을 입력
/usr/bin/X11/xterm -ls
xterm이 설치된 디렉토리는 원격 호스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그에 맞게 입력
주의)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시 SSH 서버가 적절한 DISPLAY 값을 부여 하므로 -display 옵션이 필요 없습니다.
9. [저장] 버튼을 눌러 입력한 내용을 저장
10.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xterm이 실행됩니다.
9. 일부 알파벳 폰트(h,t,d, 등)의 윗부분이 잘립니다.
일부 그래픽 가속 기능을 가진 비디오 카드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경우는 [X 설정]을 띄운 후 [옵션]->[Maximize Performance] 옵션을 끄세요
10. 리눅스의 xterm 사용 시 백스페이스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키보드 에디터에서 다음과 같이 키보드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1. Xmanager 폴더에서 키보드 에디터를 실행 또는
[X 설정]->[입력]->[키보드 파일]->[편집]을 선택
2. 설정되어 있는 키보드 화일을 오픈
3. 키보드 그림에서 백스페이스키를 선택
4. 아래쪽에 있는 Keysym을 다음과 같이 수정
Unshifted: BackSpace
Shifted: NoSymbol
ModeSwitch: NoSymbol
ShiftedModeSwitch: NoSymbol
5. 저장하고 Xmanager를 다시 실행
11. Mentor tool 사용 시 아이콘이 깨집니다.
1. Mentor 에서 사용하는 폰트를 PC에 설치해야 합니다. 넷사랑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Mentor 폰트를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2. [X 설정]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Default Visual : PseudoColor
Backing Store : When Mapped
12. 리눅스에서 방화벽 설정으로 인해 Xmanager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래와 같은 배포판에서는 설치시에 기본적으로 방화벽이 설정됩니다.
• 레드햇 7.0, 7.1, 7.2
• 와우리눅스 7.0, 7.1 파란
• 한컴리눅스 2.0
ipchains를 사용하여 설정한 경우
/etc/sysconfig/ipchains 파일의 앞부분에 다음 문장을 추가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실제 파일에는 추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If you want to use GNOME/KDE, add the following line.
-A input -p udp -s 0/0 -d 0/0 177 -j ACCEPT
# If you have set font server on Xconfig, add the following line.
-A input -p tcp -s 0/0 -d 0/0 7100 -j ACCEPT
# If you are to connect via remocon, add the following line(s).
-A input -p tcp -s 0/0 -d 0/0 telnet -j ACCEPT
-A input -p tcp -s 0/0 -d 0/0 ssh -j ACCEPT
-A input -p tcp -s 0/0 -d 0/0 login -j ACCEPT
-A input -p tcp -s 0/0 -d 0/0 exec -j ACCEPT
-A input -p tcp -s 0/0 -d 0/0 shell -j ACCEPT
iptables 을 사용하여 설정한 경우
/etc/sysconfig/iptables 파일의 앞부분에 다음 문장을 추가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단,INPUT 이나 ACCEPT는 꼭 대문자로 하세요.>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실제 파일에는 추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If you want to use GNOME/KDE, add the following line.
-A INPUT -p udp --dport 177 -j ACCEPT
# If you have set font server on Xconfig, add the following line.
-A INPUT -p tcp --dport 7100 -j ACCEPT
# If you are to connect via remocon, add the following line(s).
-A INPUT -p tcp --dport telnet -j ACCEPT
-A INPUT -p tcp --dport ssh -j ACCEPT
-A INPUT -p tcp --dport login -j ACCEPT
-A INPUT -p tcp --dport exec -j ACCEPT
-A INPUT -p tcp --dport shell -j ACCEPT
이렇게 하시고 iptables -L -n 명령을 사용하여 위의 내용이 맞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
문제점>
안녕하세요?
Solaris x86 10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치는 OEM 설치를 했고
설치된 컴퓨터 앞에서는 CDE 로그인이 잘 됩니다.
다른 유저로 해도 잘 되구요.
그런데... PC 에 Xmanager 프로그램으로 접속을 시도했는데..
로그인 화면은 잘 나옵니다.
그런데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하면
--------------------------------------------
DT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The desktop messaging system could not be started.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
위와 같은 메세지가 출력되면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종료가 되는군요.
검색을 해 보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군요.
상태는 지금 처음 설치한 상태 그대로 입니다.
유저 디렉토리는 /export/home/userid
이고 shell 은 그냥 /bin/sh 입니다.
.dt 디렉토리를 한번 지워보고 다시 해봐도 그렇네요.
참고로 /export/home/userid/.dt
의 errorlog 파일과 startlog 파일의 내용을 올립니다.
errorlog 내용
2004.06.02 (수) 14:26:43
dtsession: 메시지 서버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 종료.
startlog 내용
--- 2004년 6월 2일 수요일 오후 02시 37분 17초
--- /usr/dt/bin/Xsession starting...
--- starting /usr/dt/bin/dthello &
--- starting /usr/openwin/bin/speckeysd
--- Xsession started by dtlogin
--- starting /usr/dt/bin/dtsession_res -load -system
--- sourcing /export/home/inkim/.dtprofile...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0010.dtpaths...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0015.sun.env...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0020.dtims...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0030.dttmpdir...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0040.xmbind...
--- sourcing /usr/dt/config/Xsession.d/1000.solregis...
--- could not read /export/home/inkim/.profile
--- starting /usr/dt/bin/dtsearchpath
--- starting /usr/dt/bin/dtappgather &
--- starting /usr/dt/bin/dsdm &
--- session log file is /dev/null
--- DTSOURCEPROFILE is \'true\' (see /export/home/inkim/.dtprofile)
--- execing /usr/dt/bin/dtsession with a /bin/sh login shell ...
--- starting desktop on /dev/pts/3
Sun Microsystems Inc. SunOS 5.10 s10_54 May 2004^M
/usr/dt/bin/ttsession[1201]: 시작^M
No such state id
이 문제에 관해 해결책을 아시는 분이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자답>
/etc/nsswitch.files 의
hosts: dns files 부분을
hosts: files dns 로 변경함.
/etc/nsswitch.dns 의
hosts: dns files 부분을
hosts: files dns 로 변경함.
--> CDE 는 잘 동작한다. 그러나, GNOME 은 동작하질 않는다.
--> 변경전에는 GNOME 은 동작했으나, CDE 가 동작하지 않음.
답변 >
DT 메시지처리시스템을 시작할수 없다는 메시지나오면서
로그인화면 메뉴에서 옵션선택후 비상안전세션선택한후 다시 로그인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더라구여.
그래서 그대로 했는데 검은 화면에 프롬프트만 뜨고 키보드가 안먹는거에여..
그래서 고생중이었는데..
업체직원이 오더니
#exit 하니까 다시 로그인 화면 나왔구여..
거기서 옵션 - 세션 - 공통 데스크톱 환경(CDE)선택을 했더니
제대로 나오더라구여..
제가 초보라 잘 몰라서 그런건지..
이렇게 하니까 되더랍니다...
답변2>
위 문제에 대하여 일단 해결을 했습니다.
운좋게 솔라리스만 오랫동안 사용해 오신 거래처 회사의 중년 엔지니어 분이
회사에 오셨다가 혹시나 해서 물어봤더니 해결을 해 주셨는데...
웃긴건...
/etc/hosts 파일에
접속할 Client 의 IP (예 : 233.233.233.233) 과 로그인 유저를 적어주면 되네요.
/etc/hosts 파일에
233.233.233.233 userid
위와 같이 적어주니 아주 잘 됩니다.
갑자기 뚱딴지 스럽게 웬 /etc/hosts 파일이죠? 이론적으로 이 파일의
용도는 그게 아닌데...
이유를 자세히 물어보질 못한게 후회가 되네요.
단지... 대부분 필요는 없지만 네트웍의 환경에 따라 필요하다고 합니다.
CDE 접속이 안된다고 웬 /etc/hosts 파일에... 그것도
userid 이름을 적다니요? 이런건 들어보지도 못했는데...
이 부분에 대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위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출처] Xmanager 사용을 위한 서버 설정|작성자 바이콩
'Solaris > 문제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 c queue max run limit reached 문제 (0) | 2009.09.11 |
---|---|
[sendmail] Name server timeout (0) | 2009.08.24 |
솔라리스 FTP 로그인시 한글로 나타나는 현상 (0) | 2009.05.06 |
Agent snmpd appeared dead but responded to ping 에러 해결 (0) | 2008.04.02 |
loghost could not be resolved 메시지 해결 (0) | 2008.04.02 |